안녕하세요, 쏭랩 재테크 연구소입니다.
1편에서 제가 직접 운용하고 있는 커버드콜 ETF 포트폴리오를 소개해드렸는데요, 많은 분들이 "커버드콜 전략이 정확히 뭔가요?"라고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버드콜 ETF의 구조, 수익 모델, 장단점을 초보 투자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
📌 커버드콜 전략이란?
커버드콜(Covered Call)이란 말 그대로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즉, 일정 수량의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주식에 대한 상승 수익 일부를 포기하는 대신 옵션 프리미엄을 수취해 현금 흐름을 만들어내는 방식이죠.
✅ 콜옵션 매도 = 일정 가격 이상 오르면 수익을 넘겨주는 대신, 미리 프리미엄을 받는 것
🔁 예를 들어볼게요
- A회사의 주식을 1,000주 보유 중
- 현재가 10,000원일 때, 행사가 10,500원짜리 콜옵션을 매도
- 주가가 10,300원이면 옵션은 행사되지 않음 → 프리미엄 수익 발생
- 주가가 10,800원이 되면? → 주식 상승 일부 포기 + 프리미엄 수익 확보
📊 커버드콜 ETF의 수익 구조는?
커버드콜 ETF는 위 전략을 ETF 구조 내에서 자동화한 상품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익이 발생합니다:
- 기초자산 배당 수익 (예: 나스닥100, KOSPI200 등)
-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 수익
- 이 둘을 기반으로 투자자에게 월배당 형태로 분배
📌 그래서 커버드콜 ETF는 매달 일정한 배당금 지급을 목적으로 설계된 상품입니다.
✅ 장점: 커버드콜 ETF가 매력적인 이유
장점 설명
💸 안정적인 월배당 | 옵션 프리미엄 + 배당으로 매달 수익 창출 |
📉 하락장 방어력 | 주가 하락 시에도 옵션 수익이 일부 방어 역할 |
🔁 자동화된 전략 | 옵션 매도 전략을 직접 하지 않아도 ETF로 가능 |
📊 분산 투자 가능 | 여러 종목을 묶은 ETF 구성으로 리스크 분산 |
⚠️ 단점: 커버드콜 ETF의 한계
단점 설명
📈 상승장 수익 제한 | 주가가 크게 오르면 수익이 제한됨 (콜옵션 행사로 매도 처리됨) |
💡 원금 보장 아님 | ETF 가격 변동성 존재 (손실 가능성 있음) |
📉 옵션 전략 리스크 | 시장 급변시 옵션 손익이 예측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 |
🧾 세금 이슈 | 분배금은 세금 대상, 원천징수 고려 필요 |
👀 커버드콜 ETF, 이런 분께 적합합니다
- 매달 배당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
- 급등보다는 현금흐름 안정성을 중시하는 분
- 포트폴리오에 배당형 자산을 추가하고 싶은 분
- 직접 옵션 투자가 부담스러운 투자자
💬 마무리: 커버드콜 ETF, 현명하게 활용하자
커버드콜 ETF는 단기 수익을 노리는 상품은 아니지만, 배당 중심의 중장기 전략으로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저도 이 전략을 활용해 매달 안정적인 배당 흐름을 만들고 있으며, 그 과정을 블로그에 차곡차곡 기록하고 있습니다.
👉 여러분은 커버드콜 ETF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월배당 전략에 대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 태그
#커버드콜ETF #월배당ETF #배당형자산 #ETF전략 #고배당투자 #옵션전략 #재테크기초 #ETF투자기초 #쏭랩재테크연구소
이 글은 개인적인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콘텐츠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전략 > 커버드콜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달 배당받는 ETF 포트폴리오 공개|2025년 3월 커버드콜 투자 현황 (0) | 2025.03.29 |
---|---|
커버드 콜 전략: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옵션 투자법 (1) | 2025.03.16 |